전체 449

탐라 9룡 길 따라

장영주 | 유페이퍼 | 5,000원 구매
0 0 240 17 0 11 2019-12-26
2012년 임진년 용의 해를 맞이하여 용과 관련된 지명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용관련 지명은 1,261개소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12개소가 소개되고 있다. 필자가 심층 분석한 결과는 제주도청 마을 홈피에서 용(룡) 자 붙은 마을은 용담 1동, 용담 2동, 용흥리, 용당리, 용수리, 용흥동으로 6개 마을이다. 용관련 오름은 거문오름, 용눈이오름, 체오름, 용와이오름으로 4개소이다. 옛 지명에서 찾은 용 마을은, 중엄리(용마루), 김녕리(용두동), 봉개동(웃무드내, 용강), 하도리(용목) 등 4개를 찾을 수 있었다. 덧붙여 인터넷 검색으로 용(룡) 자 붙은 동굴은 용천동굴, 쌍룡굴 등 2개소를 들 수 있다. 용연, 좁진물, 용천호수, 용두벙, 쇠소깍, 정방..

호국의 길 항파두리 길 따라 상권

장영주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257 2 0 47 2019-12-13
1271년(원종 12) 5월 고려 장수 김방경(金方慶)과 원나라 장수 흔도(炘都)·홍다구(洪茶丘) 등이 이끄는 여몽연합군에 의해 진도의 삼별초는 토벌되었고, 배중손도 전사하였다. 이에 김통정이 삼별초의 우두머리 장수가 되어 남은 병력을 이끌고 제주도로 들어왔다. 김통정은 최후의 항몽 거점이 되었던 항파두리 토성 등을 쌓고 재기를 꾀하여 한때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였다. 1273년(원종 14) 4월, 160척의 배와 육군·해군 병사 1만여 명을 이끌고 온 여몽연합군에 의해 항파두리 토성은 함락되었다. 그러나 김통정은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70여 명을 이끌고 한라산으로 들어가 목매어 죽었다. 위의 역사성을 3권의 책으로 펴내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나라사랑 호국의 길 편(상..

호국의 길 항파두리 길 따라 중권

장영주 | 유페이퍼 | 0원 구매
0 0 6,845 6 0 228 2019-12-13
1271년(원종 12) 5월 고려 장수 김방경(金方慶)과 원나라 장수 흔도(炘都)·홍다구(洪茶丘) 등이 이끄는 여몽연합군에 의해 진도의 삼별초는 토벌되었고, 배중손도 전사하였다. 이에 김통정이 삼별초의 우두머리 장수가 되어 남은 병력을 이끌고 제주도로 들어왔다. 김통정은 최후의 항몽 거점이 되었던 항파두리 토성 등을 쌓고 재기를 꾀하여 한때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였다. 1273년(원종 14) 4월, 160척의 배와 육군·해군 병사 1만여 명을 이끌고 온 여몽연합군에 의해 항파두리 토성은 함락되었다. 그러나 김통정은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70여 명을 이끌고 한라산으로 들어가 목매어 죽었다. 위의 역사성을 3권의 책으로 펴내고자 한다. 그 두 번째로 전국공모 작가들 편(중권)..

호국의 길 항파두리 길 따라 하권

장영주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251 4 0 45 2019-12-13
1271년(원종 12) 5월 고려 장수 김방경(金方慶)과 원나라 장수 흔도(炘都)·홍다구(洪茶丘) 등이 이끄는 여몽연합군에 의해 진도의 삼별초는 토벌되었고, 배중손도 전사하였다. 이에 김통정이 삼별초의 우두머리 장수가 되어 남은 병력을 이끌고 제주도로 들어왔다. 김통정은 최후의 항몽 거점이 되었던 항파두리 토성 등을 쌓고 재기를 꾀하여 한때 남해안 일대를 장악하였다. 1273년(원종 14) 4월, 160척의 배와 육군·해군 병사 1만여 명을 이끌고 온 여몽연합군에 의해 항파두리 토성은 함락되었다. 그러나 김통정은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70여 명을 이끌고 한라산으로 들어가 목매어 죽었다. 위의 역사성을 3권의 책으로 펴내고자 한다. 그 세 번째로 발전방향 편(하권)이다.

항몽유적 제3회 시공모전 사진첩

장영주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240 2 0 25 2019-11-30
○ 항파두리 문화유적지 시 공모전을 통해 학생과 지역주민들에게 역사성을 알리는 계기를 마련한다. ○ 시 공모전 입상자들에게 항몽유적지를 참관,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문화역사 공간으로서의 자리 매김을 하는 데 기여한다라는 목적을 가지고 전도 초중고 생을 대상으로 공모한 결과 600여 편의 응모작 중 56편을 선정 시상한 시 작품 사진전을 열고 있는바 이를 책자화 했다.

사람 사는 만남 이야기

장영주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432 6 0 59 2019-11-27
한국해양아동문화연구소는 우리나라 최초 온라인 (사)비영리법인으로 등록한 순수 문화 동호인 단체이다. 이 곳에서는 매년 온라인으로 창립기념일에 세미나 시상식 문화탐방을 하는데 이에 따라 기관지를 전자출판하여 당일 출판 기념회를 갇는다. 이번호는 선집 - 5로 사람 사는 만남 이야기로 회원들의 문화 작품과 수상자 소개 세미나 자료를 실었다. 특별히 불치의 병으로 힘겹게 나날을 보내는 와중에 동시 쓰는 시간 만큼은 살아 있음을 행복이라 여기는 시인의 동시를 10편 실었다. 작품성이야 어떻튼 동시를 쓰면서 삶의 원천을 그리는 그의 눈물겨운 투병의 시간을 격려하고 보듬어 주는 계기가 되었음 한다.

나라사랑 호국의 길 항파두리

장영주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259 11 0 31 2019-10-23
이순신 장군과 강감찬 장군, 김통정 장군은 박정희 정부 시절에 정부에서 적극 지원하여 애국심 고취의 선양 장소로 각광 받으며 수학 여행지 1순위로 꼽혔던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김통정 장군의 호국의 길을 조명하는데 이순신 장군 기념관(충무공 아산 이순신 기념관)을 밴치 마킹해야 할 역사적 근거 자료를 제시하며 강감찬 장군의 공원을 항몽유적지(김통정 장군의 공원)와 비교해 봄으로 앞으로의 발전된 김통정 장군 연구를 한눈에 알아보는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어서 최영 장군에 대한 자료, 진도의 항몽 삼별초를 곁들이므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함이다. 덧붙여 항파두리 항몽 설화를 추가 하였다.

파파빌레 흑룡

장영주 | 유페이퍼 | 1,000원 구매
0 0 308 13 0 59 2019-09-30
파파빌레 흑용석은 땅 속에 묻혀 있던 신비로운 보물을 자연치유학 박사의 철학과 영혼을 담은 섬세한 손자국의 힘으로 세상 최초로 자신의 내부를 드러내 놓아 힐링의 공간을 사람들에게 제공한 한반도지형을 품은 흑룡 형체이다. 힘 있는 우주, 창조여신 설문대가 살아 있는 곳, 찬란한 보물이 순도 높은 황금이 광채를 내 뿜으며 유채꽃, 메밀꽃과 동백꽃이 백일홍과 더불어 춤추는 곳에서 차를 멈추고 마음껏 상상력을 발휘하는 곳으로 자! 떠나자!

설문대할망 길따라

장영주 김영숙 신임순 양순진 이무자 | 유페이퍼 | 2,000원 구매
0 0 598 7 0 47 2019-07-15
자연적이고 집단적이며, 그 내용은 민족적이고 평민적이어서 한 민족의 생활감정과 풍습을 암시하는 설화문화길 따라는 장영주 김영숙 신임순 양순진 이무자 등이 대표자가 되는데 설화문화길따라–1은 한 가지 주제로 글을 쓰다 보니 중복성이 나타지만 이는 새로운 설화창작 발굴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는 것이기에 부족하더라도 큰 격려의 박수를 보내 주시길 바라는 소망을 심는다. 세상에 처음으로 얼굴은 내보이는 흑룡의 내부를 스토리텔링한 전자책이다.

톤레삽 호수 사진전

장영주 | 도서출판 영주 | 2,000원 구매
0 0 331 4 0 19 2019-07-09
캄보디아를 세 번 다녀왔다. 처음은 그냥 호기심에서, 두 번째는 사진 찍는 재미로, 세 번째는 역사설화문화길 따라…. 톤레삽 호수는 두 번 다녀오며 그동안의 발전상이랄 까? 변환 모습을 사진으로 통하여 조금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2019년 사진에는 없지만 확 다라진 모습은 톤레삽 호수 가는 길이다. 예전(2008년)에는 진흙 길이었는데 그게 3층 높이로 매립되었다 한다.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온다는 그 강남이 이 톤레삽 호수라는데(2008년 가이드 왈), 확인할 방법이 없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